‘지리의 힘’ 지리는 어떻게 개인의


지리학의 힘

지리학의 포로

댓 팀 마샬 / 김미선 역 / 사이 / 2016.08.01 / 정치외교

열람 기간 : 2023-02-14 ~ 02:17 (9시간 16분)


오랫동안 소장하고 있는 책이다. 나는 정치 외교에 관한 책을 읽는 타입은 아니지만 더 많이 읽고 싶습니다. 평소에 다른 분야의 소설이나 책을 읽다가 가끔 읽기는 하는데 정치외교 분야에서 읽고 싶은 책을 찾기가 어려운 것 같다. 『지리의 힘』을 오랫동안 간직한 이유는 언젠가는 꼭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었고, 이번에 읽은 책은 정치외교 분야의 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치외교와 지리학이 무슨 관련이 있는지 생각하고 계실지 모르지만 이 책에서 배운 것은 지리적 조건이 정치와 외교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각종 매체를 통해 이미 알려진 정보도 많고 이 책이 출간된 지 벌써 6~7년 정도가 흘렀지만 여전히 국가안보를 침해하는 나라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효성에 의해 결정됨 지리적 특징. 그래서 이 책을 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참고하시길 권합니다.

지리적 특징을 가진 나라들과 미국, 러시아, 영국, 중국 그리고 강대국이라고 할 수 있는 주변국 등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나라들이 이 책에 수록되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또한 세계를 10개 정도의 지역으로 나누어 집중적으로 조명하였으며, 특정 지리적 조건과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갈등의 내적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하여 읽기 쉬웠습니다. 특히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의 중요성을 잘 설명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북한과의 관계, 주변국의 반응, 주변국의 결정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다.

나아가 이 책의 서두에서는 신흥 강국으로서의 중국, 남중국해의 영토분쟁, 인도와의 관계, 신장 위구르 등 지리적 특징, 국제정세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와 발전 등을 심도 있게 파고들고 있다. 세계 강국에 대한 위협으로 그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아울러 미국과의 새로운 패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를 이야기한다. 지리적 위치는 단순히 의미를 부여할 뿐이지 지리적 특성에 따라 분열과 갈등, 빈부격차, 탐욕과 전쟁 등의 다양한 문제가 결국 지리에서 비롯되며, 지리로 인한 다양한 문제도 미래에 발생하게 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 그리고 저자는 지리도 세계사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며 과거의 예를 들어 현재와 미래를 예측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지정학적 위치에 따라 삶의 질이 왜 달라지고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넓게는 세계 정치와 경제의 흐름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지리학에서 답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방문. 그리고 더 흥미로운 부분은 북극에 대한 내용인데요, 21세기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북극에 대한 내용도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전 세계가 기후변화로 바뀔 우리의 삶을 짚어보며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보여주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조금 아쉽다.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볼 수 있도록 좀 더 깊이 파고들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생각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내용이 풍부하지만 읽기 편하고,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비교적 명료하고 잘 정리되어 있는 것 같다. 물론 국제정세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모든 내용이 익숙하겠지만 지나치게 전문화된 내용은 없는 것 같습니다. 대체적으로 설명이 이해하기 쉽게 잘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누구나 쉽게 해석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생각합니다. 요즈음 언론에는 국제정세에 대한 많은 정보가 매일매일 나오는 것 같습니다. 이쯤 되면 이 책의 내용이 나오면 조금 아는 척 해봐도 좋을 것 같다. 전문적인 지식을 쌓는 것도 좋지만 이 책으로 조금이라도 더 많은 정보를 알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세상을 알면 재미있을 것 같아요.


지리학의 힘

지리의 렌즈로 세상을 바라보는 책, 『지리의 힘』. 국제문제 전문 기자로 활동하며 25년 이상 현장에서 30개 이상의 분쟁지역을 취재해 온 저자는 중국, 미국, 서유럽, 러시아, 한국과 일본, 아프리카 전역을 취재했다. , 라틴아메리카, 중동, 인도, 파키스탄, 그리고 북극 이 책은 세계를 10개 지역으로 나누고 ‘지리의 힘’이 21세기 현대사에 미친 영향에 주목한다. 이 책은 특히 ‘한국’ 쪽에서 한국은 한국의 위치와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강대국들의 관문 역할을 할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고 왜 그렇게 했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그래서 초강대국이 되고 왜 세계는 남극이 아닌 북극을 향하고 있는지. 또한 이제 막 부상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그리고 알카에다와 대조적으로 영토를 점령하고 있는 IS 사이의 새로운 패권 경쟁에 관한 것입니다.
작가
팀 마샬
출판
~ 사이
출시일
2016.08.10